교과과정
커리큘럽

스포츠의학과의 커리큘럼은 이론과 실무를 균형 있게 배치하여 학생들이 폭넓은 지식을 갖추고 실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. 따라서 스포츠의학과를 신설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교육과정이 필요하다.

 
학년 학기 스포츠지도사
(생활체육)
퍼스널트레이너 스포츠 재활
(건강운동관리사)
AT트레이너
1 1 스포츠사회학 스포츠과학개론 건강ㆍ체력평가 선수트레이너총론
2 체육사 스포츠과학개론 운동부하검사 운동영양학
2 1 스포츠윤리 트레이닝방법론 운동생리학

운동처방론

스포츠마사지
2 스포츠교육학

스포츠사회학

스포츠심리학 병태생리학

기능해부학

스포츠테이핑
3 1 노인체육론 휘트니스운동 스포츠응급처치 스포츠상해와 재활
2 유아체육론 휘트니스운동 운동손상학 재활운동프로그램 개발 및 재활
4 1 운동역학 & 현장실습 만성질환과 운동 & 현장실습
2 비만과 운동 & 취업 선수트레이닝 실무 & 취업
취득가능자격증

스포츠의학과 학생들은 졸업 후 다양한 전문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으며, 이는 스포츠 재활, 운동 처방, 건강관리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.

1) 국가공인(이제 준하는) 자격증
· 건강운동관리사
· 운동사
· 스포츠지도사(1급·2급)
·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(CPR) 자격증

2) 국제 및 전문 자격증
· NSCA-CPT (미국 스포츠의학회 공인 퍼스널트레이너)
· CSCS (미국 스포츠 컨디셔닝 전문가)
· ATC (미국 운동재활 트레이너)
· PES (퍼포먼스 강화 전문가)
· NASM-CPT (미국 스포츠의학회 퍼스널트레이너)